언제부턴가 당근 하면,

얘부터 떠오른다.
오늘 알아볼 당근은 먹는 당근이다.
갑자기? 왜? 당근은? 이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받게된다.
주변에 생각보다 당근을 편식하고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억지로라도 드셔보시라고 이야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당근의 효능
당근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이다.
우리나라는 제주도의 토양 환경이 알맞아 전국 생산량의 대부분을 제주에서 담당하고 있다.
인삼 재배가 어려운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당근을 인삼에 버금가는 약재로 여기기도 했다.
한의학적 관점에서 당근은 성질이 치우치지 않고 평이하며 소화기를 건강하게 하고 체기를 내리며 부기를 줄여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어 현대 한약재 분류에서는 소화제로 분류되고 있다.
소화제라고는 하지만 한의학에서 소화의 개념은 단순 위산을 조절해 주는 개념이 아니라 신체 전체적으로 밸런스를 잡아주는 쪽에 가깝기 때문에 배부를 때 소화되라고 당근을 먹으면 별로 효과를 볼 수 없지만 꾸준히 먹으면 소화기가 튼튼해진다고 해석된다.

베타카로틴
비타민의 한 종류로 산화작용으로 인한 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는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고,
당근의 색상이 붉거나 노란 이유가 바로 이 카로틴 색소 때문이다.
카로틴은 우리 체내에서 비타민A로 변하기 때문에 프로비타민A라고도 한다.
채소 가운데 당근은 파슬리 다음으로 비타민A 함량이 많아서 뿌리 부분 50g만 섭취하더라도
성인의 하루 필요 권장량을 섭취한 셈이 된다.

비타민A
결론적으로 베타카로틴에 의해서 비타민A가 체내에서 많이 생성된다는 건데,
이는 결국 안구 건강과 직결된다.
그래서 당근 먹으면 시력에 좋다는 말이 연관돼서 나오는 이유이다.
체내에 비타민A가 결핍되면 야맹증, 안구건조증, 각막연화 등이 생길 수 있다.
즉, 비타민 A는 항산화 역할을 하여 백내장 및 황반변성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비타민 A가 단백질과 결합하여 로돕신이라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이 로돕신이 저장되는 곳이 바로 "간"이다.
간에는 중량으로 환산하여 근육조직의 약 400배의 비타민A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로돕신이 시력보호나 안구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이며,
비타민A가 간에서 로돕신을 생성하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루테인 대신 매일 당근을 드세요

카로티노이드
카로티노이드는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계통의 과일과 채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물 색소로, 위에서 언급한 베타 카로틴을 포함하여, 루테인, 알파 카로틴, 라이코펜, 크립토잔틴, 지아잔틴 등의 성분을 다 포함하는 색소이다.
위에서 베타카로틴으로부터 비타민A 생성 그리고 로돕신으로 이어졌다.
즉, 간의 기능을 돕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우리의 "피부"에도 영향이 간다.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베타카로틴이 해로울 수도 있다?
그런데, 베타카로틴이 역효과를 야기할 수 있는 대상자들이 있는데, 바로 흡연자들이다.
식품을 통하지 않은 베타카로틴의 섭취는 흡연자들에게는 오히려 암을 촉진하는 효과를 초래한다.
이는 흡연자들과 같이 활성산소 등의 프리라디칼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베타카로틴이 항산화작용을 하기보다는 오히려 프로옥시던트(산화촉진성)작용을 나타낸 결과라고 한다.

연구 결과 & 논문
영국의 뉴캐슬 어펀 타인 대학과 덴마크의 남덴마크대학 및 덴마크 농한 연구소의 공동연구진은
동물실험 결과 당근에 들어있는 천연 살충성분인 팔카리놀이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팔카리놀은 저장상태의 당근에 만들어지는 성분으로 당근에
검은 반점 형태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암 이전 단계의 종양을 가진 쥐를 상대로 실험한 결과
생당근을 먹인 군과 당근에 들어 있는 팔카리놀을 첨가한 군에서
모두 암 진행율이 3분의 1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고 한다.
이 실험을 주도한 브랜트 박사는 하루 적당한 크기의 당근 1개를 다른 야채와 함께 먹으라고 권장하고 있다.

당근 선택 요령
비타민A는 지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껍질째 기름과 함께 요리해 먹는 것이 영양분 흡수에 가장 좋다.
비타민C와 칼륨 함량이 높은 사과와 궁합이 잘 맞기 때문에 사과와 함께 쥬스로 만들어 먹는 것도 좋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푸드 블루베리의 모든 것 (1) | 2025.02.12 |
---|---|
강황의 효능 (1) | 2025.02.09 |
바나나 제대로 알고 먹자 (6) | 2024.09.03 |
타트체리의 효능 (0) | 2023.07.10 |
참외(Korean Melon) (0) | 2023.06.17 |
댓글